2021-04-19(Mon)

항목

내용

학습 날짜

2021-04-19(월)

학습 시간

09:00~23:00

학습 범위 및 주제

Rails

학습 목표

라이브 코딩을 잘 통과한다.

동료 학습 방법

-

상세 학습 내용

100명 앞에서의 라이브 코딩이 끝났다. 일주일간 JWT 토큰, OAuth2만 팠었는데, 전혀 다른 문제가 나오다니..ㅎㅎ 오로지 기본기로 승부해야했다.

지금까지 있었던 다른 카뎃들의 라이브코딩들과 달리 나름 호평이었고 오퍼도 들어왔지만, 아쉬움이 남아 아래와 같이 후기를 남겼다.

후기

안녕하세요, 어제 라이브 코딩테스트 진행한 카뎃 iwoo입니다! 나름대로 트렌센던스 팀과 회고도 하고, 멘탈을 추스르다보니 늦어졌네요ㅎㅎ

그간 다른 동료분들의 라이브 코딩/면접을 지켜보며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있었는데, 정작 제가 라이브 코딩을 하게될 줄은 몰랐습니다(다음은 당신이 될 수 있습니다!)

많이 부담된 건 사실이지만, 안 좋은 코딩 습관을 드러내고, 정성적인 피드백을 통해 빨리 고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라 여기며 멘탈관리 열심히 했네요ㅎㅎ

실제로 감사하게도 이번 라이브 코딩을 통해 고쳐야할 점들을 많이 발견 할 수 있었는데요! 큰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요구사항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 했다

    • 가장 치명적인 실수였고, 아쉬웠던 부분입니다. '익명' 게시판인데 왜 author를 만들었는가.. 깨달았을 땐 너무 늦었고.. 지금 생각해도 너무 아쉽네요. 42seoul 과정을 통해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것은 익숙해졌다고 생각했는데, 제가 원하는 수준으로 체득 되지 않았음을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그간 오만했던 제 모습에 정신이 번쩍 드네요.

    • 요구사항을 확실히 파악하는 것은 비단 라이브 코딩 뿐만 아니라 코딩테스트, 면접, 동료와의 대화 등에서 가장 중요한 역량이라고 생각합니다. 제일 일하기 힘든 동료가 A해달라고 했는데 B 만들어와서 뒤통수 치는 동료 아닐까요? 저는 바쁜 상황이되면 뒤통수 칠 수 있음을 대놓고 보여준 격이라고 생각합니다. 경각심을 가지고 고쳐나가려 합니다.

  2. 제대로된 응답을 설계해놓고 개발을 시작하지 않았다.

    • 이 부분도 그간 학습한 것을 제대로 체화하지 못했음이 드러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시금 생각해보면 POSTman으로 정상응답, 에러응답 예시 정도는 적어두고 구현을 시작해야 했습니다. 그러면 자연스레 이 예시를 면접관님께 보여드리며 요구사항 의도에 맞는지 검증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었을 것이고, 제대로된 결과물을 낼 수 있었을거라 생각합니다.

    • 물론 팀 프로젝트 때는 심리적으로 편한 동료와 충분한 시간이 있었으므로 API 문서 정도는 다 만들고 시작할 수 있었고, 이 과정에서 id값 정도는 자연스레 설계에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정말 학생을 벗어나 프로 개발자가 되고 싶은 입장에서 '심리적으로 편한 동료와 충분한 시간이 있는' 상황 외의 상황에서도 챙겨야할 것은 챙겨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역시 반성하며, 확실히 고치려합니다.

  3. 시간이 끝나갈 수 록 침착함을 잃었다.

    • 프로 백엔드 개발자는 오류가 나는 서버를 다뤄야하고, 컴퓨터가 던져주는 단서들을 통해 빠른 시간 안에 해결해낼 수 있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라이브코딩이라 망정이지 호준 멘토님이 여러번 말씀하셨던 대로 1시간에 억단위로 손실나는 서비스였다면..?ㅎㅎ

    • 메시지로 넘나 명확하게 힌트가 나왔던 에러인 만큼 침착함을 유지했으면 오류 금방 잡고 다음 step으로 넘어갈 수 있었을텐데 아쉽습니다. 멘탈 관리를 더 열심히 해야겠어요. 기본기를 키우고 트러블 슈팅할만한 실전 프로젝트를 많이하는 방향으로다가..!

후 후련하네요! 오늘은 맘 편히 자고, 이번에 발견한 키워드들 파보며 힐링해보겠습니다ㅎㅎ

늦은 시간까지 봐주시며 좋은 말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좋은 기회주신 멘토님께도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

학습 내용에 대한 개인적인 총평

면접관님이 짧은 기간에 비해서 개발 습관이나 역량이 뛰어나다고 따로 전화로 칭찬을... (이런 경우 처음)

이라는 평을 들어서 자존감이 오르는 것을 느꼈다.

갈 길이 멀지만 포기하지 말고, 치열하게 고민하고 성장하는 순간순간을 쌓아나가야겠다.

다음 학습 계획

  • dto로 맵핑 말고 active model serializer를 쓰는 방법이 있다. dto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 파볼 것.

  • TDD 콘텍스트에 대해 다시한번 확인해볼 것.

  • params.fetch 메서드 확인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