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04(Wed)

  1. 학습 날짜 // 2020-11-04(수)

  2. 학습시간 // 9:00~22:00

  3. 학습 범위 및 주제 // Response header 구현

  4. 동료 학습 방법 // sanam, yohai 님과 토의함

  5. 학습 목표 // Subject에 제시된 Response header를 모두 구현한다.

  6. 상세 학습 내용

Static resource 를 open, read하여 body를 만드는 흐름은 요한님과 어느 정도 마무리했으므로, 이번에는 CGI, Response header 로 모듈을 분기하여 따로 구현하여 합치기로 하였다.

  • 요한님과 sanam님이 CGI pipe open, write, execve, read하는 흐름을 함께 작성하기로 하였다.

  • 나는 Response header를 구현하기로 하였다.

date, server, content length, content location 헤더를 만들고, mime type table을 std::map으로 Response 객체의 프로퍼티로 만드는 작업을 하였다.

이 과정에서 Buffer_size가 너무 작으면 연속된 CRLF를 찾지못하여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여 TODO로 남겼다.

  1. 학습 내용에 대한 개인적인 총평

오랜만에 페어프로그래밍에서 벗어나 혼자 코딩하니 쏠쏠한 행복감을 맛보았습니다. 페어프로그래밍도 재밌긴한데 기본적으로 커뮤니케이션 비용이 있고(특히 live share 가 버벅거릴 때마다 정말..) 몰입이 덜하긴 하니까요. 특히 Response 헤더를 작게작게 쪼개어 개발하는 과정에서 소소한 성취감을 얻으니 정말 즐겁습니다. SELECT를 거쳐서만 read, write할 수 있다는 제한 때문에 CGI도 여간 골치아픈게 아닐텐데 열정적으로 덤벼들어주는 팀원들에게 감사합니다.

다음 학습 계획

  • Response header들 구현

Last updated